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Container
- Database
- judge
- DB
- Python
- Converting
- Paper
- Windows
- AI
- Flask
- TORCH
- git
- PostgreSQL
- KAKAO
- pandas
- Mac
- numpy
- LLM
- evaluation
- format
- Linux
- docker
- list
- file
- GitLab
- pytorch
- Laravel
- enV
- CUDA
- Package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108)
Daily Develope
ㅇ 제약 조건 - NO ACTION : 외래키 제약조건 위반에 대한 오류를 발생시키고, 참조 오류가 발생하는 지점에 대해서는 롤백 진행(여부 점검) - RESTRICT : NO ACTION과 동일하나 점검을 연기할 수 없음 - CASCADE : 삭제/변경된 행/열을 참조하고 있는 행/열의 값을 삭제/변경 - SET NULL : 참조하고 있는 열(들)의 값을 null로 할당 - SET DEFAULT : 참조하고 있는 열(들)의 값을 기본값으로 할당
ㅇ 참조 https://meetup.toast.com/posts/92
가상환경 설정/관리 생성 명령어로 명시적으로 생성 conda create -n {env_name} python={version} # 예) conda create -n my_python_env python=3.9.12패키지 파일로부터 생성 (default: requirements.txt) conda create -n {env_name} --file requirements.txt조회 conda info --envs활성화 (사용할 가상환경 선택) conda activate {env_name}삭제 conda remove -n {env_name} --all복제 cf. conda 환경명을 바꾸는 명령(rename)은 없으므로, 필요하다면 복제 후 기존 환경을 삭제 conda create -n {cloned_env}..
ㅇ 상태에 따른 파일 조회 # 상태 조회 git ls-files --{status} # [예1] 삭제파일 조회 git ls-files --deleted # [예2] 변경파일 조회 git ls-files --modified # [응용] 삭제된 파일만 추가 git add $(git ls-files --modified) ㅇ 변경사항(Changes)에 대해서만 추가 git add -u