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docker
- file
- pandas
- TORCH
- Database
- Laravel
- evaluation
- format
- Linux
- Flask
- PostgreSQL
- KAKAO
- GitLab
- Python
- Package
- git
- numpy
- DB
- Container
- enV
- judge
- Mac
- Windows
- Converting
- LLM
- CUDA
- pytorch
- Paper
- list
- AI
Archives
- Today
- Total
Daily Develope
[HTTP] 응답 상태코드 (response status code) 본문
ㅇ 2XX
200 |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정상적으로 수행함 |
201 |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리소스 생성을 요청, 해당 리소스가 성공적으로 생성됨(POST를 통한 리소스 생성 작업 시) |
ㅇ 4XX
400 |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부적절 할 경우 사용하는 응답 코드 |
401 | 클라이언트가 인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호된 리소스를 요청했을 때 사용하는 응답 코드 |
(로그인 하지 않은 유저가 로그인 했을 때, 요청 가능한 리소스를 요청했을 때) | |
403 | 유저 인증상태와 관계 없이 응답하고 싶지 않은 리소스를 클라이언트가 요청했을 때 사용하는 응답 코드 |
(403 보다는 400이나 404를 사용할 것을 권고. 403 자체가 리소스가 존재한다는 뜻이기 때문에) | |
405 |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에서는 사용 불가능한 Method를 이용했을 경우 사용하는 응답 코드 |
ㅇ etc
301 |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에 대한 URI가 변경 되었을 때 사용하는 응답 코드 |
(응답 시 Location header에 변경된 URI를 적어 줘야 합니다.) | |
500 | 서버에 문제가 있을 경우 사용하는 응답 코드 |
'Develope > 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Web] Multipart/form-data 요청(Request) in Python (0) | 2023.03.27 |
---|---|
[Request] Content-Type의 데이터별 http 요청(requests) 코드 예제 (0) | 2022.11.07 |
[FLASK] request 정리 (0) | 2022.08.16 |
[WEB] TODO - RestAPI 정리 (0) | 2022.08.08 |
[Laravel] Directory 구조 정리 (version 9.x) (0) | 2022.04.22 |
Comments